악성코드는 Malicious Code, Malware, Malicious Program 등으로 표기하며 최근에는 Malicious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 가능한 코드'로 정의한다. 실행할 수 있는 코드는 프로그램, 매크로, 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취약점을 이용한 데이터 형태도 포함하고 있으며, 형태에 따라서 바이러스, 웜, 트로이 목마로 분류되고 있다.
최근 안철수연구소로 신고되는 악성코드를 살펴보면 양적 증가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악성화되고 있다. 특히, 악성코드의 양은 예년과 비교해 3∼4배를 훌쩍 뛰어 넘는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악성코드는 다양한 공격 기법과 감염 기법을 통해 해킹과 악성코드의 경계선 자체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등장하는 악성코드는 기존의 분류 형태로 나누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그 예가 웜의 형태로 자신을 복제하지만 감염된 시스템의 파일에 악의적인 코드를 감염시키는 경우다. 또한 웜의 형태로 자신을 복제하지만 특정 포트를 사용해 외부 시스템에 불법으로 접근하는 통합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가 많이 발견되고 있어 컴퓨터 사용자들의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나머지 자료는 여기 첨부파일을 읽어보세요.
'Study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멍난 '아이핀' (0) | 2010.06.07 |
---|---|
암호학 (0) | 2009.09.23 |
게시판 스팸 대응요령 (0) | 2009.09.17 |
암호 시스템(Crypto system) 발표자료 (0) | 2009.06.05 |
악성코드(Conficker 변종) 감염 피해 주의 / 백신 (0) | 2009.04.28 |